파이썬 for문 정리! range와 리스트 반복 예제까지

파이썬에서 for문은 반복적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본 제어문입니다. for문을 활용하면 리스트, 튜플, 문자열, 또는 range 객체와 같은 반복 가능한(iterable) 자료형을 순회하며 각 요소에 대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 프로그래밍 초보자라도 for문을 이해하면 코드를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으며,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



2. range() 함수의 기본 구조

for문과 자주 사용되는 함수 중 하나가 range()입니다. range()는 정수 범위를 생성하는 함수로, 반복문과 함께 사용하면 특정 횟수만큼 코드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. range()는 세 가지 형태로 사용됩니다.

3. range(5)의 의미와 예제

가장 기본적인 형태인 range(5)는 0부터 4까지의 정수를 생성합니다. 즉, 시작값이 생략되면 자동으로 0부터 시작하며, 끝값 바로 전까지 반복합니다.

for i in range(5):
    print(i)
# 출력 결과
# 0
# 1
# 2
# 3
# 4

이렇게 간단히 0부터 4까지 총 5번 반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
4. range(1,5)의 의미와 예제

range(1,5)는 시작값과 끝값을 지정한 형태입니다. 시작값 1부터 끝값 5 직전까지 반복합니다. 즉, 1, 2, 3, 4 순으로 반복됩니다.

for i in range(1,5):
    print(i)
# 출력 결과
# 1
# 2
# 3
# 4

시작값을 지정하면 0부터가 아닌 원하는 숫자부터 반복을 시작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.

5. range(1,10,3)의 의미와 예제

range(1,10,3)과 같이 세 번째 인자를 넣으면 증가값(step)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여기서는 1부터 10 직전까지 3씩 증가하면서 반복하게 됩니다.

for i in range(1,10,3):
    print(i)
# 출력 결과
# 1
# 4
# 7

이 방법은 일정 간격으로 숫자를 반복하고 싶을 때 매우 유용하며, 특정 조건의 반복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.

6. 리스트 반복 예제

for문은 리스트와 같은 반복 가능한 자료형을 순회할 때도 자주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과일 리스트가 있을 때 각 요소를 출력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
fruits = ['사과', '바나나', '체리']
for fruit in fruits:
    print(fruit)
# 출력 결과
# 사과
# 바나나
# 체리

리스트의 길이를 몰라도 for문을 사용하면 모든 요소를 자동으로 순회할 수 있어 코드가 간결해집니다.

7. for문 활용 시 주의점과 팁

for문을 사용할 때 몇 가지 유용한 팁이 있습니다. 첫째, 반복 범위를 잘못 지정하면 의도치 않게 반복 횟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range의 시작값, 끝값, 증가값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. 둘째, 리스트를 반복할 때는 인덱스를 직접 다루지 않아도 되므로 코드를 간결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. 마지막으로, 중첩 for문을 사용할 경우 반복 횟수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을 고려해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.

결론적으로, 파이썬 for문과 range, 리스트 반복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면 반복 작업을 매우 효율적이고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. 반복문의 기본 구조와 range 함수의 다양한 형태를 숙지하면 초보자도 보다 전문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으며, 실무에서 자주 마주치는 반복 작업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.
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