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언어 변수 선언,printf출력 정리

C언어를 처음 배우면 제일 먼저 만나는 개념이 바로 변수(variable)출력(printf) 이다.
이 두 가지는 프로그램이 값을 저장하고 보여주는 기본 도구다.
이번 글에서는 변수를 선언하고, 그 변수를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자.

1. 변수란 무엇인가?

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공간이다.
쉽게 말해 컴퓨터 안의 “이름이 붙은 상자”다.
상자 이름을 정하고, 그 안에 숫자나 문자를 넣을 수 있다.

int age = 20;
float height = 175.5;
char grade = 'A';
  • int → 정수를 저장

  • float → 실수를 저장

  • char → 문자 하나를 저장

  • = → 오른쪽 값을 왼쪽 변수에 넣는 대입 연산자

이렇게 변수를 선언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해당 값을 기억할 수 있다.
즉, 계산 결과나 사용자 입력값 등을 잠시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.

2. 변수 선언 시 주의할 점

변수 이름에는 몇 가지 규칙이 있다.

  1. 알파벳, 숫자, 밑줄(_)만 사용 가능

  2.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

  3. 대소문자를 구분함 (예: Ageage는 다른 변수)

  4. 예약어(int, if, return 등)는 변수 이름으로 쓸 수 없음

잘못된 예시는 다음과 같다.

int 3age;    // 숫자로 시작해서 오류
float float; // 예약어 사용 불가
char user name; // 띄어쓰기 불가

3. printf()로 변수 출력하기

변수를 만들었으면 이제 출력 함수 printf() 로 값을 확인할 수 있다.
이 함수는 stdio.h 헤더 파일에 포함되어 있다.
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void) {
    int age = 20;
    float height = 175.5;
    char grade = 'A';

    printf("나이: %d살\n", age);
    printf("키: %.1fcm\n", height);
    printf("등급: %c\n", grade);

    return 0;
}

실행 결과:

나이: 20살
키: 175.5cm
등급: A

여기서 %d, %f, %c는 각각 변수의 자료형에 맞는 출력 형식이다.

서식 지정자 설명
%d 정수 (int)
%f 실수 (float, double)
%c 문자 (char)
%s 문자열 (char 배열)

%.1f처럼 점을 찍고 숫자를 붙이면 소수점 자릿수를 지정할 수 있다. %.2f라고 하면 소수점 세번째에서 반올림(5이상) 하고 두번째 자리까지 출력된다

4. 여러 변수 한 번에 출력하기

printf()는 여러 개의 변수를 한 줄에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.
이때는 서식 지정자의 순서와 변수의 순서를 정확히 맞춰야 한다.
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void) {
    int year = 2025;
    int month = 10;
    int day = 22;

    printf("오늘은 %d년 %d월 %d일입니다.\n", year, month, day);

    return 0;
}

출력 결과:

오늘은 2025년 10월 22일입니다.

이처럼 %d가 3개면 뒤에 변수도 3개를 순서대로 써야 한다.

5. 출력문에서 자주 쓰는 기호들

printf() 안에서는 이스케이프 문자라는 특수 기호를 함께 쓴다.
이는 줄을 바꾸거나 간격을 띄울 때 사용된다.

기호 의미
\n 줄바꿈
\t 탭(간격 띄우기)
\\ 역슬래시 출력
\" 큰따옴표 출력

예시:

printf("이름\t나이\t성적\n");
printf("홍길동\t20\tA\n");

출력 결과:

이름	나이	성적
홍길동	20	A

마무리

C언어에서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단위이고,
printf()는 그 데이터를 눈으로 확인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.

  1. 변수를 선언해 값을 저장하고

  2. printf()% 기호를 이용해 출력하며

  3. \n, \t 등으로 보기 좋게 정리한다.

댓글 쓰기